
<The Blue Jealousy>
각본: 소진주
Written by Little Pearl
¶
<The Blue Jealousy>는 CommonPlay 소속의 소진주 금속공예가가 집필한 각본입니다. 이 작품은 80년대 순박했던 한 여인이 내적 결핍으로 인해 마음속에 깊이 자리한 우울과 질투 때문에 주변인물들과 스스로를 파괴해가는 내용을 담고있습니다. 질투라는 격정을 주제로 하지만 작품 전체적으로 우울(Blue)이 감도는 모순적인 심상을 표지에 나타내고자 디자인했습니다.
<The Blue Jealousy> is a script written by a metal craftman Little Pearl from CommonPlay. This script is about a woman who lived in the '80s and was destroying herself and surrounding people because of her depression and jealousy deeply in her mind due to her inner deficiency. The theme of the passion of jealousy, but designed to show on the cover the contradictory image that the whole work says her blue(depression).
각본: 소진주
Written by Little Pearl
¶
<The Blue Jealousy>는 CommonPlay 소속의 소진주 금속공예가가 집필한 각본입니다. 이 작품은 80년대 순박했던 한 여인이 내적 결핍으로 인해 마음속에 깊이 자리한 우울과 질투 때문에 주변인물들과 스스로를 파괴해가는 내용을 담고있습니다. 질투라는 격정을 주제로 하지만 작품 전체적으로 우울(Blue)이 감도는 모순적인 심상을 표지에 나타내고자 디자인했습니다.
<The Blue Jealousy> is a script written by a metal craftman Little Pearl from CommonPlay. This script is about a woman who lived in the '80s and was destroying herself and surrounding people because of her depression and jealousy deeply in her mind due to her inner deficiency. The theme of the passion of jealousy, but designed to show on the cover the contradictory image that the whole work says her blue(depression).

<Made In Germany>
Lyrics by Rammstein
¶
<Made In Germany> 는 CommonPlay 단원들의 시적 언어표현 연습을 위해 독일의 얼터너티브 락 밴드 Rammstein의 가사를 엮어 만든 책입니다. 람슈타인은 그들이 보여주는 자극적이고 성적이고 폭력적인 퍼포먼스에 반대되는 서정적이고 시적인 가사로 유명합니다. 그들의 음악세계를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젠틀한 폭력’ 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그것을 표지에 나타내기 위해 세밀한 펜으로 중세 판화 스타일의 표지를 그렸습니다. 폭력으로 유지되는 고귀함, 그리고 그것을 신성하게 표현하는 방법론은 그들이 보여주는 대비와 맥을 함께합니다.
<Made In Germany> is a collection of lyrics by Rammstein, an alternative rock band from Germany for the poetic language exercises of CommonPlay members. Rammstein is famous for its lyrical and poetic lyrics against their provocative, sexual and violent performances. In a word, their musical method can be called 'gentle violence'. I drew a medieval engravings-style cover with a fine pen to show it on the cover. The nobleness maintained by violence, and the methodology that divine it, combines with the contrast that they show.
Lyrics by Rammstein
¶
<Made In Germany> 는 CommonPlay 단원들의 시적 언어표현 연습을 위해 독일의 얼터너티브 락 밴드 Rammstein의 가사를 엮어 만든 책입니다. 람슈타인은 그들이 보여주는 자극적이고 성적이고 폭력적인 퍼포먼스에 반대되는 서정적이고 시적인 가사로 유명합니다. 그들의 음악세계를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젠틀한 폭력’ 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그것을 표지에 나타내기 위해 세밀한 펜으로 중세 판화 스타일의 표지를 그렸습니다. 폭력으로 유지되는 고귀함, 그리고 그것을 신성하게 표현하는 방법론은 그들이 보여주는 대비와 맥을 함께합니다.
<Made In Germany> is a collection of lyrics by Rammstein, an alternative rock band from Germany for the poetic language exercises of CommonPlay members. Rammstein is famous for its lyrical and poetic lyrics against their provocative, sexual and violent performances. In a word, their musical method can be called 'gentle violence'. I drew a medieval engravings-style cover with a fine pen to show it on the cover. The nobleness maintained by violence, and the methodology that divine it, combines with the contrast that they show.
<착한아이>
각본: 소진주
<A Good Boy>
Written by Little Pearl
¶
<착한아이> 는 CommonPlay 소속의 소진주 금속공예가가 집필한 각본입니다. 흰 선이 드리워진 곳 위로만 걸어갈 수 있다는 강박증을 가진 한 소년의 이야기를 다룬 <착한아이> 는 대한민국의 살인적인 교육풍토를 비판하고 있습니다. 세명의 잘난 누나와 극성인 어머니, 가정에 소홀한 아버지 사이에서도 자신은 부모님이 제시한 길, 주어진 길만 따라가야한다는 강요, 그리고 그것들이 결국 그 아이가 ‘흰 선’ 이라는 오브제에 강박증세를 갖도록 만들었습니다. 시키는대로만 했던 착한아이의 감정이 배제된 강박, 그 심상을 표지에 드러내고자 디자인 했습니다.
<A Good Boy> is a script written by a metal craftmanLittle Pearl from CommonPlay. <A Good Boy> which deals with the story of a boy who has a compulsion to walk on only a white line, criticizes the murderous educational climate of Korea. Between the ‘successful’ three sisters, the polar mother and the indifferent father in the family, they forced him to go along the path he had given, and that eventually led him to fall into obsession with the object "white line." . It was designed to show the good boy's achromatic emotions and compulsive emotions.
각본: 소진주
<A Good Boy>
Written by Little Pearl
¶
<착한아이> 는 CommonPlay 소속의 소진주 금속공예가가 집필한 각본입니다. 흰 선이 드리워진 곳 위로만 걸어갈 수 있다는 강박증을 가진 한 소년의 이야기를 다룬 <착한아이> 는 대한민국의 살인적인 교육풍토를 비판하고 있습니다. 세명의 잘난 누나와 극성인 어머니, 가정에 소홀한 아버지 사이에서도 자신은 부모님이 제시한 길, 주어진 길만 따라가야한다는 강요, 그리고 그것들이 결국 그 아이가 ‘흰 선’ 이라는 오브제에 강박증세를 갖도록 만들었습니다. 시키는대로만 했던 착한아이의 감정이 배제된 강박, 그 심상을 표지에 드러내고자 디자인 했습니다.
<A Good Boy> is a script written by a metal craftmanLittle Pearl from CommonPlay. <A Good Boy> which deals with the story of a boy who has a compulsion to walk on only a white line, criticizes the murderous educational climate of Korea. Between the ‘successful’ three sisters, the polar mother and the indifferent father in the family, they forced him to go along the path he had given, and that eventually led him to fall into obsession with the object "white line." . It was designed to show the good boy's achromatic emotions and compulsive emotions.